권남희의 독서일기

현대여성미술사의 진짜 얼굴을 말한다

권남희 후정 2012. 5. 1. 11:48

 

꽃과 풍경 신지영 지음 미술사랑 출판  -이 책은 20세기 한국미술의 흐름과 이에 내재된 억압을 잘 설명해주고 있다. -

 

신지영 ( 이화여대 영문과 졸업. 동대학교 영문학과와 미술사학과 대학원에서 석사를 이수. 박사를 수료한 후 영국 리즈대학교 문화연구, 미술사로 박사를 마쳤다. 논문으로 《모더니즘 미술사와 한국추상미술의 성별 정치학》-2006《왜 우리에게는 위대한 여성ㄹ미술가가 없을까?》 《‘한국성’의 정립과 ‘한국적’추상에 대하여》-2005《박수근 회화에 나타난 여성들:한국의 기표로서의 여성 이미지》-2000등 다수. 역서로는 《앤디워홀》이 있다.

 

 

머리말 여성의 역사쓰기 (‘상상의 공동체로서의 민족/한국성의 신화: 아무것도 새로운 것을 말하지 않는 언어/미술비평, 미술사. 기호학/문화연구, 미술사. 탈식민, 해체 / 한국성의 담론:정체성과 망각의 역사/ 페티쉬, 트라우마, 오디푸스 콤플렉스 / 미술사와 여성주의

 

제 1장 해체를 시작하며(한국성이란 무엇인가/ 이름짓기의 역사 / 서구 미술사의 모더니즘 담론/ 한국에서의 모더니즘 미술사/뜨거운 추상과 한국성 / 추상과 문인화,문인화의 채색화/ 남성미술로의 추상, 문인화의 젠더적 성격 / 모더니즘 미술사와 여성

 

제 2장 내 슬픈 전설의 49페이지 ( 타자로서의 여성 미술가, 천경자와 한국현대미술/ 미술사의 이항 대립과 ‘차이’ 정체성 / 근대와 현대. 한국현대미술의 구조 /뜨거운 추상과 모더니즘 미술사 / 전통의 발명, 추상의 변형, 채색화와 문인화 /한국적 기호와 ‘타자’로서의 여성

 

제 3장 어느 신여성의 자화상 (나혜석의 자화상과 풍경화/ 컨텍스트의 중요성/ 개화기의 컨텍스트:서재필과 독립문/동학 농민운동과 서학 / 동양의 도, 동학과 서양의 도, 서학/ 서구와 일본 :기독교와 천황제 종교, 신도/ 신여셩과 여성교육, 모던 담론 /구영서오가 전통담론:내외법, 여성성, 성역할/ ‘전통’ 혼인과 여성/연애의 안과 밖 /구여성의 풍경 /어느 신 여성의 초상화: 나혜석의 초상화 )

 

제 4장 나혜석의 풍경화와 여성주의 ( 나혜석의 콤플렉스/풍경화와 여성주의 : 여행의 여성주의적 함의 /여행과 섹슈얼리티, 예술과 플라네르 /유길준 , 서유견문과 여성주의

제 5장 반세기의 신화 : 남과 북에는 천사도 악마도 없다 (반세기의 신화 /한국성과 트라우마, 페티쉬/ 페티쉬, 카스트레이션, 남성성과 한국성/ 한국적 미술: 트라우마와 페티쉬 미술/조선과 일본, 수묵과 담채, 또 하나의 이항대립/한국성과 투사/사랑과 미움의 담론, 한국 민족주의 / 트라우마와 오디푸스 콤플렉스/ 식민과 남성성의 상실 / 혁명에 갇힌 나라, 정화 의식과 광화문

* 참고도판/ 참고문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