권남희의 독서일기

권남희 수필교실 추천도서 <구별짓기> 삐에르 부르디외 지음 1.2권

권남희 후정 2014. 4. 4. 10:56

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권남희 수필교실 추천도서   (글쓰기 화두 잡기에  아주 좋은 책입니다. 재미는 없지만 자칭 지식인체하는 분들 !  꼭 읽어보시기를   

구별짓기 삐에르 부르디외 최종철 옮김 새물결 출판

-문화와 취향의 사회학 上-

삐에르 부르디외Pierre Bourdieu 1930-2002

스페인 출생. 수재교육기관 고등사범학교 입학 철학교수자격 취득 .알제리 전쟁에 징집후 민족학과 사회학을 연구. 파리대학에서 레이몽아롱의 조교로 근무. 릴대학 강사역임 . 사회과학연구소의 교수이자 연구주임에 취임. 〈교육문화사회학센터〉를 창설해 소장 .연구자들과 공동으로 연구를 추진함. 3년에 걸쳐 《알제리의 노동과 노동자들》《토지상실》《상속자들》등 일곱권의 저서를 출간. 그 중 문화적 불평등의 재생산을 연구한 《상속자들》은 68학생운동에 많은 영향을 줌. 《재생산》출간 .학술연구 잡지인 《사회과학연구학보》를 창간, 편집장으로 재직하면서 정치, 경제, 종교, 교육, 예술, 문학 , 언어, 취향, 스포츠 등 광범한 분야를 연구대상으로 함. 1979년《구별짓기》출간. 《실천감각 》출간 . 1982년 콜레주 드 프랑스의 사회학 강좌 교수가 됨. 《말하기의 의미》 《국가귀족》출간

구별짓기 上 이책의 이해를 돕기위해 / 서문

제 1부 취향에 대한 사회적 비판

제 1장 문회귀족의 칭호와 혈통( 문화귀족의 칭호- 칭호의 효과/ 미적 성향/ 순수취향과 ‘야만적 취향’/ 대중 ‘미학’ / 미적 異化효과 /反 칸트적 미학 /미학, 윤리학, 유미주의/ 중성화와 가능성의 세계/ 필요로부터의 거리/ 구분감각으로서의 미적감각

문화귀족의 혈통 -매너와 문화의 획득방식 / ‘학자’와 ‘사교가’ / 경험과 학식/ 태어난 세계/ 상속자본과 확득자본 /두 개의 시장/ 여러 요소와 힘/

제 2부 실천의 경제

제 2장 사회 공간과 그 변형 ( 계급의 조건과 사회적 조건화- 변수와 변수체계/ 구성된 계급 / 사회계급과 궤적의 집합/ 자본과 시장 / 3차원공간 /전환전략/ 계급화, 계급탈락, 재계급화 / 전환전략과 형태변화/ 이해하는 시간 / 남용된 세대/ 계급탈락에 대항한 투쟁/ 학교제도의 변화/ 경쟁 투쟁과 구조이동 )

제 3장 아비투스와 생활양식 공간 ( 공간들간의 상동관계 - 형식과 실체/ 세 가지 차별화 방식/ 격식없이 혹은 거리낌없이? / 보이는 것과 보이지않는 것/ 양식적 가능성의 세계)

제 4장 장場의 역학 ( 상품생산과 취향생산의 상응관계/상동성의 효과/ 선택적 친화 /상징투쟁)

제 3부 계급의 취향과 생활양식

제 5장 차별화의 감각- 지배계급 ( 예술작품의 전유양식/ 지배적 취향의 변형태/ 시간이 각인/ 세속적 권력과 비세속적 권력 )

제 6장 문화적 善意 -중간 계급 (인지와 승인/ 학교와 독학/ 경사傾斜와 경향傾向 /쁘띠 부르주아지 취향 /신흥 쁘띠 부르주아지 /의무로부터의 쾌락의 의무로 )

제 7장 필요한 것의 선택 -민중계급( 필요취향과 순응의 원리/ 지배의 효과)

제 8장 문화와 정치( 여론조사와 검열/ 신분과 능력/ 정치적 발언권 개인적의견/ 의견의 생산양식/ 의미의 박탈과 유용/ 도덕적 질서와 정치적 질서/ 계급의 아비투스와 정치적 의견/ 의견의 수요와 공/ 정치공간/ 궤적의 고유효과/ 정치언어

결론: 계급과 분류 (육화된 사회 구조들/ 개념없는 지식/ 이해관심이 개입된 귀속판단 / 분류투쟁/ 표상의 현실과 현실의 표상)후기: ‘순수’ 비평에 대한 ‘통속적’ 비판을 위하여 (안이한 것에의 혐오/ ‘반성의 취향’과 ‘감각의 취향’ / 부인된 사회적 관계/ 여록餘錄 Parerga과 보유補遺Paralipomena /독서의 쾌락부록 ( 1. 조사방법에 대하여 2. 보충자료 3. 통계자료-앙케트 4. 사회학적 게임

옮긴이 후기: 사진 출전/ 찾아보기 )

이 책의 이해를 돕기 위해 -1,용어해설

(디스뗑끄시몽Distinction 이 책의 원제목. 복합적인 의미로 사용. 남들로부터 자신을 구별하여 두드러지게 하는 것이 계급분화와 계급구조를 유지하는 기본원리중 하나. 문맥에 따라 ‘구별’ ‘차별화’ ‘탁월화’‘변별적 기호’로 번역되고 있다.

* 장 場 Champ Field 장에 대한 부르디외의 구상은 막스베버의 종교사회학에서 비롯된다. 사제와 예언자, 마술사간의 관계에 대한 분석을 발전시킨 개념. 그러나 다른 한편 구조주의적 유산을 간직하고 있는 이 장 개념은 위치로 구조화된 공간을 共時적으로 파악하고 이 위치들의 속성을 사회공간 속에 종속시키며 , 그 위치의 점유자의 속성과는 (상대적으로) 독립적으로 분석된다. 장은 정치의 장, 종교의 장, 학문의 장. 예술의 장 등으로 다원화 되지만 그 장들이 갖는 일반적 법칙은 추출할 수 있다.

* 실천Pratique:Practice

*. 아비투스Habitus :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하면 ‘교육같은 것에 의해 영향받을 수 있는 심리적 영향’ 습관은 반복적이고 기계적이며 재생산적인데 비해 아비투스는 고도로 ‘생산적’이어서 스스로 변동을 겪으면서 조건화의 객관적 논리를 생산하는 경향. 아비투스는 역사에 의해 생산되는 창안Invention의 원칙이면서 역사로부터 벗어난다.

*,문화자본 Capital Culturel :

*.학력자본 Capital Scolaire -Educational Capital 문화자본의 세 번째 형태와 거의 중복되며 첫 번째 형태와도 관련된다.

* 사회자본(관계) Capital de relation Social 사회자본은 상호인식과 상호인정으로부터 제도화된 지속적 관계망의 소유와 관련된 현재적이고 잠재적인 자본이다. 공통적 속성을 가졌을 뿐 아니라 영속적이고 유용한 관계에 의해 뭉쳐진 사람들의 총체인 한 집단에 소속함으로써 얻게되는 자원 ‘인맥’이란 개념에 가깝다.

2.계급 및 사회직업 범주 (부르디외가 상정하고 있는 프랑스 사회의 계급구조와 각 계급에 상응하는 사회-직업 범주들을 소개

상층계급, 지배계급(지배분파 -구 부르주아지. 신흥부르주아지: 상공업 경영자 . 자유업. 상급관리자(공기업, 관청, 사기업관리자 / 피지배분파- 교수(중등교육, 고등교육, 상급기술직, 예술제작자)

중간 계급 ( 신흥쁘띠 부르주아지 -공예장인, 의료보건서비스종사자, 문화매개자, 비서

상승 쁘띠 부르주아지- 일반관리직: 판매계통, 사무계통/ 사무노동자: 사무원, 상저무언, 일반 기술직, 초등학교 교사 /구 쁘띠 부르주아지-장인, 소성인, 중소기업 경영자 )

민중계급 ( 생산노동자- 숙련공, 단순기능공, 단순 노무자, / 소농업경영자- 직공장, 자영농/ 소 봉급생활자- 파출부, 농업노동자)

3. 학력 자격 ( CEP, CAP - 꼴레쥬-중학교해당.15세 이상 대상 단순 기능공이후 CAP는 속련공이 된다) BEPC( 리세 -고등학교 해당) /쁘띠뜨제꼴- 바깔로레아 취득자 가운데 대학이나 다른 장기교육과저에 진학하지 않은 자를 위한 교육기관 .공업기슬이나 단기대학 .각종 전문학교/ 학사- 대학 3년 째 취득 석사학위는 4년째 취득

/ 교수자격에 응시하면 아그리제가 되며 리세 또는 대학에서 가르칠 수 있다.

/그랑제꼴 -대학과는 별개의 특수교육기관으로 바깔로레아 취득후 2년간 리세의 특별학급에서 공부해야 한다